본문 바로가기
오월이십삼

DJ와 盧…정치적 동지, 역사무대 동반퇴장

by 칠면초 2009. 8. 18.

 

[CBS정치부 안성용 기자]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어 김대중 전 대통령도 서거하면서 진보진영의 상실감은 극에 달하게 됐다. 고인이 된 김대중, 노무현 두 전직 대통령의 20년 인연을 되돌아 봤다.

노무현 전 대통령을 제도 정치권으로 이끈 사람은 김영삼 전 대통령이었다. 하지만 마지막까지 한 배를 탄 동지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었다.

1988년 13대 총선 결과로 여소야대 정국이 만들어지자 당시 노태우 대통령은 김영삼 신민당 총재, 김종필 공화당 총재와 손잡고 민자당을 탄생시킨다.

 

 

3당 합당을 거부하고 꼬마 민주당에 잔류하던 노무현 전 대통령은 95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계복귀에도 반대해 역시 합류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97년 대선을 앞두고 영남 출신 정치인으로서는 드물게 김대중을 선택해 힘을 실어줬다. 김 전 대통령은 이에 대한 보답으로 노 전 대통령을 해양수산부 장관으로 기용해 행정경험을 쌓게 해 대선주자의 반열에 올려놨다.

노 전 대통령이 새천년민주당 대선후보에 선출되고 대통령 자리에 오를 수 있었던 것도 광주민심과 김 전 대통령의 '무언의 지지'때문에 가능했다는 평가가 중론이다.

하지만 노무현 대통령이 취임하자 마자 한 것은 대북송금 특검 수용. 이로 인해 김 전 대통령 측근들은 줄줄이 감옥에 가야했고 두 사람의 관계는 악화일로를 걸었다.

그 뒤로 김 전 대통령은 공·사석에서 기회있을 때마다 노 전 대통령의 통치스타일과 지역주의 타파를 내세운 호남 배제론을 비판했고, 노 전 대통령은 전통적 지지 기반이었던 호남 민심의 악화로 참여정부 내내 고생을 해야했다.

두 사람의 거리가 좁혀지기 시작한 것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방북과 18대 대선이었다.
노 전 대통령은 대선을 두 달여 앞두고 북한을 방문하기에 앞서 동교동 사저로 김 전 대통령을 찾아 한 시간 가량 독대를 하면서 조언을 들었다.

18대 대선전이 펼쳐진 2007년 내내 김대중 전 대통령은 현실 정치에 개입하고 있다는 비판을 무릅쓰고 '범민주 대연합'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 노 전 대통령은 친노세력들이 범민주 대연합에 머물도록 붙잡는 물막이 역할을 했다.

이명박 정부의 출범은 김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을 더욱 가까워 지게 했다. 특히 이명박 정부가 대북정책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우향우'를 택하면서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는 자연스럽게 '민주정부 10년'으로 묶였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로 두 전직 대통령은 뒤늦게나마 완전한 화해를 이뤘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노 전 대통령 서거 소식을 접하자 "평생 민주화 동지를 잃었고, 민주정권 10년을 같이 했던 사람으로서 내 몸의 반이 무너진 것 같은 심정이다."고 비통함을 감추지 못했다.

김 전 대통령은 노 전 대통령 장례식에서 추도사를 하려던 계획이 정부의 반대로 무산되자 분향소를 찾아 작심한 듯 이명박 정권을 비난했다. 그렇지만 노 전 대통령 서거에 대한 충격 등으로 이전의 건강 상태를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갑작스런 서거에 이은 '민족의 큰 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라는 슬픔을 접한 진보 진영은 '진보'를 대표하던 두 전직 대통령을 이을 구심을 만들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