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성곽을 돌아보기로 했다. 가장먼저 수원역을 지나면 시내를 큰 팔로 안고 있는 듯한 수원성을 택했다. 수원성은 정조대왕이 비참하게 생을 마감한 아버지 사도세자를 기리며 만든 성이다. 영조의 아들 사도세자는 왕이 되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아버지에 의해 한여름 뙤약볕에 놓인 뒤주에 갇혀 죽었다. 반면 사도세자의 아들 정조는 왕위에 올랐다. 아버지와 아들이 왕위에 올랐는데 정작 사도세자는 비참한 죽음을 맞는다. 그 죽음은 오래도록 미스터리한 사건으로 입에 오른다. 그런 만큼 기록은 많지만 역사의 감춰진 진면목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현실이다.
그중 사도세자에 관한 가장 대표적인 기록이 ‘한중록’이다. 혜경궁 홍씨가 남편인 사도세자의 죽음을 지켜보며 쓴 내용이다. 아내가 남편의 죽음을 기록했다니 얼마나 절절한 심정으로 써내려갔을까. 그래서 많은 후세인들은 한중록의 내용을 가감 없이 믿는다. 한중록에 따르면 ‘영조는 성격이 괴팍했고 사도세자는 정신병을 앓았다.’로 기록되어있다. 사도세자의 죽음은 이런 상황에 벌어진 일임을 암시하고 있다.
사람들은 위와 같은 내용으로 어쩔 수 없이 사도세자가 죽임을 당했다고 생각한다. 나 역시도 이덕일 소장의 ‘사도세자가 꿈꾼 나라’를 읽기 전 마찬가지였다. 아마도 한중록의 영향으로 사도세자가 병들어 있다고 생각했으리라.
이덕일의 ‘사도세자가 꿈꾼 나라’는 한중록과 다른 시각에서 사도세자의 삶을 역사적으로 해석하고 있는 점이 특별하다. '영조실록'‧'정조실록'이나 '어제장헌대왕지문' 같은 사료를 통해서도 사도세자가 '한중록'이 전하는 정신병자와는 거리가 먼 성군의 자질을 지닌 인물이라고 표현한다. 사도세자의 사상이 당시 기득권 세력인 노론의 기반을 뒤흔들 정도로 혁신적이었기 때문에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것이라 설명하고 있다. 책에 의하면 사도세자는 비운의 세자가 아니라 성군의 자질을 타고난 왕이었다는 것이다.
사도세자는 세손이었을 때부터 영특했으며 조정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고 한다. 조부인 효종을 닮아 북벌을 꿈꿨고 세자로 책봉된 이후 영조를 도와 국정을 조율할 정도로 아버지의 신임도 받았던 아들이었다.
사도세자와 아버지 영조의 대립은 어디선가 많이 본 익숙한 형태다. 최근 방영한 '뿌리 깊은 나무'에서 밀본 세력과 세종과의 대립의 모양과 같다. 말하자면 사대부는 뿌리이고 임금은 단지 꽃에 불과하다는 밀본 세력에게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치고자 했던 임금이란 그저 제거 대상일 뿐이었던 것.
저자 이덕일 소장은 이 책을 통해 "이런 밀본의 사상이 그대로 노론사관으로 이어져 자국의 임금은, 임금이 아니라 명나라 황제의 자리에서 볼 때는 자신들과 같은 신하일 뿐이라는 서인(노론의 전신)들의 인조반정 명분이 됐다"고 말하고 있다.
그렇다면 사도세자가 꿈꾼 나라는 과연 어떤 나라였을까? 도대체 누가 무슨 이유로 죽음으로 내몰았을까? 왜 백성을 아끼는 사람들은 1%에 의해 항상 죽임을 당하는 것일까?
사도세자와 정조를 생각하며 걷기를 시작한 수원성은 팔달문인 남문에서 시작해 서문인 화서문과 북문인 장안문을 거쳐 화홍문을 지나 동문에 해당하는 창룡문, 팔달문까지 5.7km에 해당하는 적당한 거리다. 성과 성벽은 아름다웠으며, 성벽을 따라 길이 잘 닦여 있어, 성을 따라 걷는 것은 마치 200년 전의 시간 여행을 하는 것 같았다.
'독서삼매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똑똑한 아이를 만들어 주는 그리기 100선 (0) | 2012.01.02 |
---|---|
착한 아이 사탕이 (0) | 2011.12.26 |
100살 건강한 뇌의 비결 (0) | 2011.12.19 |
말이 세상을 아프게 한다 (0) | 2011.12.16 |
정샘물의 시크릿뷰티 (0) | 2011.12.06 |